BOJ 56

[백준] 2667 - 단지 번호 붙이기

문제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에서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이 지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집의 모임을 단지로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고 한다.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뒤 색을 달리하여 표시한 것이다.지도를 입력받아 단지의 수와 단지 별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접근그래프 탐색 방법인 DFS나 BFS를 사용하여 풀어낼 수 있다. 최단 경로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DFS, BFS 중 편한 방법으로 구현하면 될 것 같다.다만 지도 내 단지가 하나 이상이므로 테이블 전체를 순회하면서 그래프 탐색을 수행해야 한다. 아무 조건 없이 ..

카테고리 없음 2024.06.04

[백준] 2606 - 바이러스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606웜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한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모든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린다.예로 들어 그림 1과 같은 네트워크가 있다고 할 때,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웜 바이러스는 2번, 5번 컴퓨터를 거쳐 3번, 6번 컴퓨터까지 전파된다. 즉, 2번, 3번, 5번, 6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컴퓨터의 수와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정보가 주어질 때, 1번 컴퓨터를 통해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는 컴퓨터의의 수를 구하여라.입력으로는 첫째 줄에 컴퓨터의 수가,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진다. 이후로 ..

[백준] 2178 - 미로탐색

문제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N X M 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101111101010101011111011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이다. 이 미로에서 (1, 1)에서 출발해 (N, M)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는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갈 수 있다.입력의 첫째 줄에는 두 정수 N, M이 주어지고, 다음 N개의 줄에 M개의 정수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또한 항상 도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고려한다.  2024.05.10-[프로그래머스] 게임 맵 최단거리와 동일한 형태의 BFS 문제이다. 게임 맵 최단거리에서 불필요한..

Algorithm 2024.05.30

[백준] 11053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3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예를 들어, 수열 A = {10, 20, 10, 30, 20, 50} 인 경우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 {10, 20, 10, 30, 20, 50} 이고, 길이는 4이다. 최장 증가 부분 수열 이런 문제는 일반적으로 최장 증가 부분 수열(LIS: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문제라고 하는데, 동적 계획법으로 풀어낼 수 있는 유명한 알고리즘 풀이다.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이란 임의의 수열에서 몇 개의 수를 제거하여 만들 수 있는 부분 수열 중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가 장 긴 수열을 의미한다. 예로 들어,..

[백준] 2579 - 계단 오르기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인 시작점부터 꼭대기인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계단을 밟으면 계단에 쓰여있는 점수를 얻는다. 예로 들어 시작점에서 첫번째, 두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 20 + 25 + 30 = 75점이 된다. 계단을 오를 때는 다음의 규칙을 지켜야 한다. 한 번에 한 계단 또는 두 계단 씩 오를 수 있다.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질 때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접근 dp 문제다!..

[백준] 2193 - 이친수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193 이진수란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말한다. 그중 0으로 시작하지 않으면서 1이 두 번 연속 나타나지 않는 수(1, 10, 100, 101)를 이친수(pinary number)라고 한다. 0010101, 101101은 0으로 시작하거나 1이 연속으로 나타나므로 이친수가 아니다. 수의 길이를 입력받아 해당 길이의 이친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접근 2024.04.04 - [백준] 11057 - 오르막 수와 비슷한 면이 있는데, 마지막 자리의 값에 따라 다음에 올 수 있는 수가 정해져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1이 연속으로 나올 수 없다는 이친수의 성질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숫자가 1로 끝나면 다음 길이의 이친수는 0으로..

[백준] 1890 - 점프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890 각 칸에 수가 적힌 N * N 크기의 게임판이 있다. 게임의 목표는 가장 왼쪽 위 칸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칸으로 규칙에 맞게 점프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각 칸에 적힌 수는 현재 칸에서 갈 수 있는 거리를 뜻한다. 단, 0은 종착점을 의미한다. 오른쪽이나 아래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한 번 점프하는 중간에 방향을 바꿀 수 없다. 가장 왼쪽 위 칸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칸으로 규칙에 맞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구하여라. 접근 2024.04.08 - [백준] 11048 - 이동하기와 비슷한 문제인데, '이동하기'는 한 번에 한 칸씩 움직이는 반면 '점프'는 이동할 수 있는 칸의 수가 정해져 있지 않다. 때문에 현재 위치..

[백준] 11048 - 이동하기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8 1 * 1 크기의 방에 사탕이 놓여져 있는 N * M 크기의 미로가 있다고 하자. 미로의 가장 왼쪽 윗 방의 좌표는 (1,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방 좌표는 (N, M)이다. 또한 사람이 (r, c) 좌표의 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r+1, c), (r, c+1), (r+1, c+1)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방을 방문할 때마다 방에 놓여진 사탕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 사람이 (1,1) 좌표 방에서 (N, M) 좌표 방으로 미로를 빠져나온다고 할 때, 가져올 수 있는 사탕 개수의 최대값을 구하여라. 접근 이 문제도 동적 계획법과 관련된 문제다. 현재 위치한 방을 어떻게 왔는지 고려해보면 아래 그림을 떠올릴 수 있다. ..

[백준] 10844 - 쉬운 계단 수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45656과 같이 인접한 자리수의 차이가 1인 수를 계단 수라고 한다. 수의 길이 n이 주어질 때, 길이가 n인 계단 수의 계수를 구하여라. 단, 0부터 시작하는 수는 계단 수가 아닌 것으로 취급한다. 접근 이 문제는 2024.04.04 - [백준] 11057 - 오르막 수와 비슷하게 동적 계획법으로 접근할 만한 문제다. 수의 길이가 1일 때, 계단 수의 1부터 9까지 수가 해당된다. 그리고 수의 길이가 2인 경우, 각 자리 수 마다 계단 수는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개수를 표시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참고로 0으로 시작하는 수의 개수는 다음 길이의 계단 수의 개수를 구할 때 구하기 위해서 구해야 한다. 즉, 숫자 ..

[백준] 11057 - 오르막 수

문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7 오르막 수란 수의 자릿수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 이때 인접한 두 수의 값이 같아도 오름차순을 준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로 들어 2234, 3678, 1119은 오르막 수이다. 하지만 2232, 3676,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 수의 길이 N이 주어졌을 때 오르막 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 단, 결괏값은 10007로 나눈 수로 출력한다. + 다른 사람의 풀이를 참고했다. 접근 동적 계획법으로 접근하면 좋은 문제다. 수의 길이가 1인 경우, 오르막 수는 0, 1, 2, 3 …… 9가 해당된다. 수의 길이가 2인 경우, 첫번째 자리의 수에 따라 다음으로 올 수 있는 수의 개수는..

1 2 3 4 5 6